1. HS Code란?
해외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행위인 수입, 해외로 물건을 판매하는 행위인 수출을 진행할 때 반드시 필요한 숫자가 있습니다. 바로 HS Code!! Harmonis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줄여서 그냥 HS 코드라고 부릅니다.
이 HS Code는 수입 / 수출 업무를 할 때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숫자고요, 첫 6 단위 (6 digit) 까지는 어느 나라던 관계없이 공통으로 사용됩니다.
각 국은 자기네들 사정에 맞추어 이 숫자를 더 늘릴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참고로 HSK 라고 해서 10자리 숫자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에서 A라는 제품을 수출할 때 부여된 HS Code가 1602.10이라고 하면, 우리나라에서 수입신고가 될 때 1602.10 까지는 동일하나, 이후 4자리가 더 추가적으로 부여가 됩니다.
2. HS Code의 중요성
이 HS Code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물건을 수입할 때 관세를 납부하게 되는데, 납부하게 될 관세액을 계산하기 위한 세율을 결정하는 숫자이기도 합니다.
해외에서 수입되는 제품의 관세율을 정할 때 바로 이 HS Code가 명시하고 있는 세율을 부여한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이 숫자를 잘못 분류하게 되면, 관세를 더 납부하거나 또는 덜 납부해서 금전상의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더불어, 이 숫자는 우리가 해외에서 물건을 수입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하는 허가 또는 승인 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도 하며, 원산지를 표시해야 하는지, 원산지는 어떻게 표시해야 하는지 등에 관한 많은 정보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번호를 다르게 분류하게 되면 지켜야 하는 법규사항, 세율 정보, 원산지 표기방법 등이 크게 달라지게 되어, 법적인 이슈를 야기하게 되기 때문에 정확한 HS Code 분류는 수입 통관 프로세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작업 중에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3. HS Code 조회 사이트
해당 사이트들은 HS Code 분류를 위한 참조를 목적으로 활용하시거나 또는 HS Code를 알고 계실 때 이 번호가 의미하는 세율 및 기타 관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HS Code 분류는 생각보다 복잡한 체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품의 용도, 재질, 사용목적, 기능 등등에 따라서 유사한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이 번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세청 또는 세관에 문의를 하시거나, 수출입 통관 전문 자격사인 관세사를 통하여 정확한 HS Code를 부여받으셔야 추후 수출입 업무 시 큰 문제가 야기되지 않습니다.
(1) 관세청 Unipass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관세법령정보포털 CLIP
unipass.customs.go.kr
정부에서 개발하고 관리하고 있는 사이트다 보니, 가장 믿을만한 사이트입니다. 다만, 인터페이스나 사용자 환경이 그렇게 유저 친화적이라고 생각지는 않습니다. 수출입 관련업무에 종사한지 17년이 다 되가는 저도 그렇게 자주 사용하는 편은 아니며, 세관 공무원 분들 조차도 해당 사이트 보다는 현직 관세사가 개발하여 운영중인 민간 사이트를 자주 이용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쨌든 정부에서 운영하고 관리하는 Official 한 사이트이니 가장 먼저 언급드립니다.
(2) 씨엘 HS
씨엘HS - 인터넷 HS 편람
clhs.co.kr
현직 관세사분들이 100이면 100 다 활용하고 있는 사이트이며, 세관에서도 적극 활용하고 있는 사이트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현직 관세사가 개발한 바로 그 사이트입니다. 방대한 자료와 더불어, 아주 편리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덕분에 10년이 넘게 사랑받아온 사이트입니다. 다만, 유료 사이트다보니 관련 업무를 전문으로 하지 않으신다면, 굳이 돈을 지불하고 사용하실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3) 한국 무역통계 진흥원
http://trass.or.kr/static-html/bcc/hsnavigation.jsp
HS 네비게이션 서비스
trass.or.kr
본인이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 키워드로 과거 분류되었던 HS Code를 사용 빈도별로 보여줍니다. 다만, 위에서 언급드린 바와 같이 HS Code 분류는 1+1처럼 딱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HS Code라고 해서 반드시 정확한 HS Code가 아닐 수 있음을 인지하셔야 합니다. Anyway, 참조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나쁘지 않은 HS Code 조회 사이트입니다.
(4) HS999
http://www.hhss999.com/main/index/?device=
HS Code 조회, 거래품명 빅데이터로 HS코드 쉽게 찾는법
전국세관 수출입신고 거래품명의 빅데이터와 전세계 국가에서 선적한 품명의 빅데이터로부터 초보자도 HS코드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FTA원산지기준.수입관세율.외국관세율.수출입요건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hhss999.com
이 사이트도 씨엘처럼 현직 관세사 분이 개발한 사이트입니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장 적합한 HS Code를 추출해내는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인터페이스가 불편하고 직관적이지 않아서 손이 잘 가지 않는 사이트라고 말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그래도, 필요한 숫자는 충분히 뽑아낼 수 있는 사이트이므로, HS Code 분류 시 충분히 방문해볼 만한 가치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까지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필요한 기본 기능은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자, 지금까지 HS Code를 조회할 수 있는 여러 사이트에 대해서 소개를 드렸습니다.
위에서 재차 언급드렸듯이 HS Code라는 숫자는 무역 업무 시 매우 중요한 숫자이므로,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숫자 확인을 권 고드리며, 위 사이트들은 HS Code 분류에 대한 기본 지식을 함양한 이후에 잘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haser 42-